임신준비3 서울시에서 임신 준비, 임산부 지원 사업 신청하기 🤰💖 저출산 문제로 정부에서는 출산 관련 많은 지원사업을 하고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임신준비 / 임신 중 혜택들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. 1.서울시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서울시는 가임기 남녀를 대상으로 건강한 임신을 응원하는 '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'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 검사를 통해 임신에 장애가 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사전에 알 수 있고 예방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대상 :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가임기 남녀 개인 또는 부부 (결혼 여부와 상관 없음)지원 내용건강 위험요인 평가 설문: 생활환경, 약물 복용, 가족력 등 검사건강검진: 혈액검사, 비뇨기과 검사 엽산제 지원: 남녀 모두에게 엽산제를 지원 (엽산은 최소 임신3개월 전부터 복용 권장)신청 방법서울시 임신출산 정.. 2025. 3. 20. 임신 초기 증상과 준비, 극초기 주의 사항과 검사항목🤰 이 글에서는 임신 초기 증상과 극초기부터 어떤 건강 관리가 필요한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. 1. 임신 초기 증상, 산모의 신체 변화 👶 1.1. 기초체온 상승 🌡️임신 초기에는 기초 체온이 높아집니다. 생리 전과 비교했을 때 기초 체온이 일정하게 높게 유지되는 것이 임신의 초기 신호일 수 있습니다. 특히 배란 후 1주일 동안 체온이 지속적으로 높다면 임신 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. 배란 후 임신이 되었을 경우 기초 체온이 37도 이상으로 유지됩니다. 만약 정상적인 임신이 되지 않았다면, 기초 체온은 생리 시작 전에 다시 내려가게 됩니다.1.2. 입덧 증상 🤢입덧은 보통 임신 4주차~6주차부터 시작되지만, 일부 여성은 1주차부터 미약한 메스꺼움이나 식욕 부진을 느낄 수 있습니다. 이 증상은 호.. 2025. 3. 12. 임신 준비 단계부터 시작하기: 임신 전 필수 영양제 5가지 추천과 복용 시간,방법 1. 엽산 (Folic Acid)✅ 왜 필요할까?엽산은 태아의 신경관 결손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. *신경관 결손(NTD)이란? 신경관 결손은 태아의 뇌와 척수를 형성하는 신경관이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아 발생하는 선천적 기형입니다. 임신 3개월 전부터 꾸준히 엽산을 섭취하면 NTD 발생 확률을 70%까지 낮출 수 있음. 엽산은 임신 초기에 태아의 뇌와 척수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💊 권장 섭취량임신 전 : 하루 400~600㎍임신 후: 하루 600~800㎍🕰️ 언제 먹어야 할까?엽산은 공복에 섭취하면 흡수율이 높아집니다. 일어나자마자 아침 식사를 하기 전이나 잠들기 전에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2. 철분 (Iron)✅임신 전에 철분제를 꼭 챙겨먹어야 할까?다음 체크리스.. 2025. 3. 11. 이전 1 다음